Dream never gets old.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Dream never gets old.

메뉴 리스트

  • Home
  • Tag
  • MediaLog
  • LocationLog
  • Guestbook
  • Admin
  • Write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9)
    • [A-01] Expert (0)
    • [B-01] Quad-rotor (13)
    • [C-01] STM32F103RB (17)
    • [C-02] LM3S8962 (6)
    • [C-03] AT91SAM9260 (11)
    • [C-04] ATmega2560 (16)
    • [C-05] STi7105 (20)
    • [C-06] S5PV210 (16)
    • [C-07] STi7108 (1)
    • [C-08] BCM7231 (3)
    • [C-09] BCM7424 (5)
    • [C-10] NEXELL (1)
    • [C-11] Hi3716C (8)
    • [C-12] Exynos 5250 (4)
    • [C-13] Hi3719C (3)
    • [C-14] STM32F373VC (1)
    • [D-01] Linux (82)
    • [D-02] Windows CE (0)
    • [D-03] uC/OS-II (4)
    • [D-04] uCLinux (1)
    • [E-01] Bootloader (2)
    • [F-01] Compiler (0)
    • [G-01] Device (11)
    • [H-01] File System (2)
    • [I-01] Sensor (0)
    • [Z-01] 참고 (52)

검색 레이어

Dream never gets old.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전체 글

  • STM32F103RB datasheet

    2009.11.30 by eoseontaek

  • Basic Graphics Programming With The Xlib Library

    2009.11.26 by eoseontaek

  • X 윈도우 프로그래밍 기초과정

    2009.11.26 by eoseontaek

  • RTOS, ARM Architecture 개인 사이트

    2009.11.25 by eoseontaek

  • uCOS-II_뛰어넘기

    2009.11.25 by eoseontaek

  • The Network File System

    2009.11.18 by eoseontaek

  • 주번호, 부번호, 디바이스 타입

    2009.11.17 by eoseontaek

  •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할 때 필요한 작업단계

    2009.11.17 by eoseontaek

STM32F103RB datasheet

Quad-rotor의 Navi-Ctrl 을 Cortex-M3로 구현해 보기로 했다. 보드는 Mango-Z1을 사용하기로 하였다. STM32F103RB의 datasheet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. http://www.st.com/stonline/products/literature/ds/13587/stm32f103rb.pdf

[C-01] STM32F103RB 2009. 11. 30. 14:51

Basic Graphics Programming With The Xlib Library

Link : http://users.actcom.co.il/~choo/lupg/tutorials/xlib-programming/xlib-programming.html

[D-01] Linux 2009. 11. 26. 21:26

X 윈도우 프로그래밍 기초과정

Link : http://wiki.kldp.org/wiki.php/LinuxdocSgml/X-Window-Programming-KLDP

[D-01] Linux 2009. 11. 26. 21:24

RTOS, ARM Architecture 개인 사이트

유용한 자료가 많다. Link : http://cgi.chol.com/~hebb/

[D-03] uC/OS-II 2009. 11. 25. 17:43

uCOS-II_뛰어넘기

[D-03] uC/OS-II 2009. 11. 25. 17:32

The Network File System

http://wiki.kldp.org/Translations/html/NAG/11.html

[D-01] Linux 2009. 11. 18. 11:50

주번호, 부번호, 디바이스 타입

주번호(Major Number) 디바이스 파일 커널 내부의 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제공하는 파일 디바이스 드라이버 타입 정보(문자형/블록형) 주번호(Major Number) 부번호(Minor Number) 디바이스 드라이버 타입 정보와 주번호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등록된 함수를 호출하는 정보로 사용 제어하려는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디바이스 ID 부번호(Minor Number) 커널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용도 결정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다루는 실제 디바이스의 구분 용도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분 블록 디바이스의 파티션 구분 일반적으로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가 여럿 있을 때 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 include/linux/kdev_t.h” 파일에 선언 #define MINOR..

[D-01] Linux 2009. 11. 17. 20:48

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할 때 필요한 작업단계

1.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이름과 주번호를 결정해야 한다. 2.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함수를 구현해야 한다. 그리고 이 함수들의 시작 주소는 파일 연산(file_operations)이라는 자료구조에 초기화 되어야 한다. 3.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커널에 등록해야 한다. register_XXXdev() 함수를 사용한다. 4. /dev 디렉토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접근할 수 있는 장치파일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.

[D-01] Linux 2009. 11. 17. 16:18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··· 25 26 27 28 29 30 31 ··· 35
다음
TISTORY
Dream never gets old.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